클래시스(주식코드: 214150)는 2007년 설립된 미용 의료기기 전문 기업으로, 집속초음파(HIFU) 기술을 활용한 '슈링크'와 고주파(RF) 기술을 적용한 '볼뉴머' 등의 제품을 통해 국내외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전 세계 70여 개국에 제품을 수출하며, 국내 병의원과 일반 소비자에게도 다양한 미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업 개요
클래시스는 미용 목적의 의료기기와 개인용 뷰티 디바이스, 화장품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으로는 '슈링크', '볼뉴머', '알파' 등이 있으며, 이러한 장비들의 누적 판매 대수와 사용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소모품 매출도 함께 상승하고 있습니다. 특히, 소모품 매출 비중은 전체 매출의 약 53%를 차지하며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최근 주가 동향
2025년 2월 28일 오후 1시 13분 기준, 클래시스의 주가는 62,300원으로, 전월 대비 9.84% 하락하고 있습니다. 이는 26일 삼성전자의 인수설에 갭이 높게 뜨고 거래량이 실린 장대음봉으로 마쳤지만 27일에는 프로그램 매수세가 들어와 장중 22.41% 급등하였습니다. 오늘은 글로벌 시장이 하락하다 보니 클래시스도 동반하락하고 있지만 조정 후 재상승 여력은 있어 보입니다.
또한, 2024년 2월 말경 미국 미용 의료제품 유통 기업인 카르테사 에스테틱과의 업무협약(MOU) 체결 소식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결과로 분석됩니다.
재무 실적 분석
클래시스는 2024년 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44억 원, 영업이익 358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4.0%, 73.1% 증가하였습니다. 특히, 소모품 매출액은 27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2% 증가하여 전체 매출의 46.3%를 차지하였습니다. 이는 국내외에서 '볼뉴머'와 '슈링크'의 판매 호조와 함께 소모품 사용이 꾸준히 증가한 결과로 해석됩니다.
향후 전망
클래시스는 이루다와의 합병을 통해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미국 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예정입니다. 이루다는 레이저 및 마이크로니들 고주파 장비 분야에서 강점을 보유한 기업으로, 이번 합병을 통해 클래시스는 다양한 에너지원의 미용기기를 확보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고, 지역적 다각화 및 유통망 최적화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최근 삼성전자와 인수설이 상승 모멘텀으로 작용하여 주가가 출렁이었는데 그 모멘텀은 며칠 더 지속될 거라 예상됩니다.
현 차트에서는 단기적인 관점에서 대응을 해 볼만한 자리입니다.
- 매수가: 63,000원~61,000원
- 목표가: 71,000원
- 손절가: 60,000원 이탈 시
-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며, 이 자료는 투자에 도움이 될까 싶어 쓴 제 손견에 불가합니다.
투자 포인트
- 미국 시장 진출: 세계 최대 미용 시장인 미국에서 '볼뉴머'의 판매를 시작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가 예상됩니다.
- 제품 포트폴리오 다각화: 이루다와의 합병을 통해 다양한 에너지원의 미용기기를 확보하여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안정적인 소모품 매출: 장비 판매 증가에 따른 소모품 수요 확대는 지속적인 수익 창출의 기반이 됩니다.
-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 전 세계 70여 개국에 제품을 수출하며, 지역별 맞춤형 마케팅과 유통 전략을 통해 시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결론
클래시스는 혁신적인 제품과 적극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시장 진출과 제품 포트폴리오 다각화는 향후 매출 증대와 주가 상승의 중요한 동력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긍정적인 요인들을 고려하여 클래시스에 대한 관심과 투자를 검토해 볼 수 있습니다.
같이 읽으면 좋은 정보 |
셀비온 주가 분석: 전립선암 치료제 개발 기대감 반영될까?
셀비온(308430)은 방사성의약품 신약 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으로, 2010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진단과 치료에 모두 활용될 수 있는 방사성의약품을 주력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특히 전립선암 치
ecofree73.tistory.com
LS네트웍스 주식, 지금이 기회일까?
LS네트웍스(000680)는 LS그룹 내에서 소비재 부문의 핵심 기업으로, 브랜드 사업, 유통 사업, 임대 사업 등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PROSPECS' 브랜드를 통해 신발, 의류, 용품 등의 상품을 다
ecofree73.tistory.com
GRT: 중국 AI·반도체 시장에서 주목받는 기업
GRT(그레이트리치과기유한공사)는 중국 장쑤 성에 본사를 둔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 및 고분자 박막자재 개발, 생산, 판매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입니다. 2016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으며, 주
ecofree73.tistory.com
'주식공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쓰리빌리언 주가 : AI 기반 희귀질환 진단 기업의 성장과 전망 (0) | 2025.03.13 |
---|---|
아이씨티케이(456010) 주가, 지금이 매수 타이밍일까? (0) | 2025.03.10 |
셀비온 주가 분석: 전립선암 치료제 개발 기대감 반영될까? (1) | 2025.02.27 |
LS네트웍스 주식, 지금이 기회일까? (0) | 2025.02.26 |
삼성중공업 주식 전망 (1) | 2025.02.25 |